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발바닥 통증 족저근막염

by 곰같은여우 2023. 1. 3.
반응형

발바닥이 아프다.

발바닥 통증 족저근막염 증상

우리몸 전체 체중의 2%밖에 되지 않는 발이지만 하루 동안 받는 하중은 무려 700톤 가량 된다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서 발바닥 근육들은 끊임없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며 충격을 흡수하는데 이때 과도한 스트레스나 잘못된 자세 습관 등으로 인해 염증이 발생할 수 있고 이것을 바로 족저근막염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족저근막염 증상으로 무엇이 있을까? 또 어떻게 예방해햐 할까?
아침에 일어나 첫 발을 디딜 때 발바닥 통증이 느껴지거나 가만히 서 있어도 뒤꿈치 안쪽 부근에 찌릿한 통증이 느껴진다면 족저근막염을 의심해봐야 한다.
보통 자고 일어나서 첫 발을 내디딜 때 심한 통증을 호소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서서히 완화되기 때문에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우는 경우가 많다. 만약 그대로 방치한다면 보행 장애 및 무릎, 고관절, 허리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있으므로 주의해야한다. 따라서 초기에 병원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고 치료받는 것이 좋다.
아울러 재발 방지를 위해 생활습관 개선 역시 필요하다.

족저근막염 일반적 원인

족저근막염의 원인은 다양하다.
해부학적 원인은 구조적으로 발바닥의 아치가 정상보다 낮아 흔히 평발로 불리는 편평족이나, 아치가 정상보다 높은 요족변형이 있는 경우 족저근막염이 발생 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러한 해부학적 이상이 원인이 되는 경우보다 우리 생활에서 발의 무리한 사용으로 원인되어 발생되는 경우가 휠씬 높다. 즉 평소 운동을 하지 않던 사람이 갑자기 무리한 운동을 하거나 장기간 뛰거나, 바닥이 딱딱한 장소에서 발바닥에 충격을 주는 점핑과 같은 운동을 한 경우, 과체중, 장시간 서 있거나, 딱딱하거나 쿠션이 없는 구두를 사용, 하이힐의 착용은 족저근막에 피곤함이 가해지면서 염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흔하다. 그 밖에 당뇨, 관절염 환자에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족저근막염 치료 및 예방

족저근막염은 90% 이상이 거의 수술이 없이 치료가 가능한 질환이라고 한다.
족저근막염은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아 조기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기 진단은 약물치료와 간단한 물리치료만으로도 호전된다. 그리고 보조기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보조기를 사용해서 밤사이에 족저근막을 스트레칭된 상태로 유지시키며 증상을 완화 할 수 있다. 일주일 정도 사용하면 증상이 점차 줄어들고 2~3개월 꾸준히 착용해야 완치할 수 있다. 그래도 호전이 되지 않는다면 체외충격파 요법을 사용한다. 체외충격파 요법은 충격파를 이용해서 손상된 조직 재생을 촉진시켜주는 비 수술적 치료 방법이다. 원래는 요로결석 환자에게서 결석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근골격계 질환에서도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현재 주로 정형외과나 재활의학과 같은 병원에서 시행되고 있다. 그렇다면 체외충격파 시술 시 주의해야 할 사항은 뭐가 있을까?
먼저 피부발진이나 일시적인 통증 악화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전문의와 충분한 상담 후 진행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그리고 염증 반응을 최소화하기 위해 음주 및 흡연은 삼가해야 하며 무리한 운동역시 피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해당 부위에 강한 자극이 가해지지 않도록 강도 조절에 신경써야 한다.
스테로이드 주사요법은 치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환자에게만 사용하는데 발의 뒤꿈치 지방층이 위축되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반복적인 주사치료는 근막이 손상 될수 있으니 신중히 결정해야한다.

족저근막염 예방 및 완화 방법으로는 무엇이 있을까?
먼저 신발 선택이 중요하다.쿠션이 좋은 러닝화나 워킹화를 신는게 좋다. 또한 과체중은 발바닥에 피곤함을 가중시 킬 수 있으니 생활식습관과 함께 바른 자세 교정을 하는것이 도움이 된다. 물론 무리한 운동도 중단하고 간단한 스트레칭으로 발바닥의 근육을 풀어주는것이 좋다.

족저근막염 스트레칭

엄지 발가락을 위아래로 움직여 주는걸 반복하거나, 타올 가운데 아픈 발바닥을 올리고 다리를 앞으로 핀다. 그리고 수건을 몸 쪽으로 당기면서 발바닥이 당겨지는것을 느낀다.
세번째 벽을 짚고 서서 한쪽 다리를 뒤로 뻗어 종아리가 당겨지는 느낌으로 늘려주면 도움이 된다. 마지막으로 바닥에 앉아서 아픈 발을 반대쪽 무릎 위에 올려준다. 다음으로 발가락을 잡고 몸쪽으로 당겨주면 되는데,이때 발목을 발등쪽으로 젖혀 주면 더욱 효과적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