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치매 원인, 치료, 증상 알아보기

by 곰같은여우 2023. 1. 5.
반응형

점점 젊어지는 치매  미리 알아두자

건망증과 치매의 차이

과거에는 치매를 노인에게 나타나는 증상으로 노망이라고 불렀지만 치매가 점점 젊어지면서 40대 50대에서도 조기치매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치매 우리가 얼마나 알고 있고 대비할 수 있을까? 치매가 단순히 기억력 감퇴에서 온다고 생각하고 깜박깜박 잊어버리는 건망증에서 치매가 아닐까 생각하게 된다. 하지만 건망증이 다 치매가 되는것은 아니다. 건망증은 어떤 사건이나 사실을 기억하는 속도가 느려지거나 일시적으로 기억하지 못하는 기억장애의 한증상으로 곰곰히 생각하면 기억이 떠오르지만 치매는 어떤 병적인 원인으로 뇌세포가 급격히 파괴되는 경우에 나타나게 된다. 치매는 단순 기억장애인 건망증과 달리 사고력이나 판단력에도 문제가 생기고 성격까지도 변하면서 자신은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치매의 원인

치매는 뇌 기능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모든 질환이 치매의 원인이 될 수있다. 흔히 치매라 생각하는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퇴행성 뇌질환이다.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는 위축되고 작아지며 신경세포의 신경 원섬유 변화와 조직 내에 노인반점 침착을 볼 수있다. 또한 뇌내에 존재하는 중요 신경전달물질 중의 하나인 아세틸콜린이라는 물질이 정상인에 비해 두드러지게 감소된다고 한다.

혈관성 치매는 뇌혈관질환에 의해 뇌 손상을 입어 발생한다. 혈관성치매는 다발성경색 치매, 주요부 뇌경색 치매, 피질하 혈관치매로 분류할 수 있다. 다발성경색치매와 주요부 뇌경색 치매는 뇌졸중 발생 이후 발생하고 피질하 혈관 치매는 대개 환자 자신도 모르게 증상이 나타나 서서히 진행된다고 한다. 뇌혈관질환은 뇌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허혈성 뇌혈관질환인 뇌경색과 혈관이 터져서 생기는 출혈설 뇌혈관질환인 뇌출혈로 나타난다.

가역성 치매의 원인은 우울증에 의한 가성치매, 정상압 뇌수구증, 뇌종양 및 만성 경막하 혈종, 감염성 질환, 갑상샘등의 내분비 질황, 비타민 B12, 철등의 결핍성 질환, 알코올 중독, 약물과 연관된 치매등이 있다.

그밖에 레비소체병, 그리고 이마관자엽 치매가 있다. 비교적 흔하지 않은 원인들로는 수두증 피킨스병 그리고 크로이츠펠트-야코프병 등이 있다. 치매는 한 환자에게서 한 가지 이상의 치매 형태들이 나타날 수 있다.드물게는 유전적인 원인에 의해 치매가 발생한다

치매 치료와 예방

알츠하이머병은 뚜렷한 예방법이나 치료방법은 아직 없지만 증상을 완화시키고 진행을 지연 시킬 수 있는 아세틸콜린 분해효소를 억제하는 약물을 사용해서 아세틸콜린의 양을 증가시키도록 하면 뇌손상이 심하지 않은 경도, 중등 환자에게 효과적이고, 중등이상의 경우 NMDA라는 수용체 길항제가 사용된다. 약물치료와 병행해서 기억력 훈련, 인지재활치료등을 진행해서 조기 치료를 할 수 있다.

혈관성 치매는 뇌혈관질환에 대한 위험요소가 비교적 잘 알려져 있어 위험요소를 조심한다면 혈관성 치매를 예방할 수 있다. 위험요소로는 고혈압, 흡연, 심근경색, 심방세동, 당뇨병, 이상지질혈증이 있다.

가역성 치매는 원인 질황의 치료를 통해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지 않고 전문병원을 찾아 진단 받는것이 중요하다.

치매 환자 증상과 대처

치매환자는 기억력이 떨어지고 폭력적으로 변하거나 잦은 실수를 하고, 말이나 대소변에 대한 인지가 떨어져 기저귀를 착용할 수도 있다. 그렇다고 치매 환자에게 화를 내거나 학대를 해서는 절대 안 된다.

망상이 심해져 소리를 지거나 불안해할 경우 장소를 옮기거나, 시선을 다른 곳으로 돌리게 한다.

딴 소리를 하거나 불필요 이야기를 늘어놓을 때는 옆에서 이야기를 들어준다.

치매환자는 노인으로 넘어지면 골절이 되기 쉬우니 주변에 환경을 정리해 부딪치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치매환자는 우울한 상태로 있거나 죽고 싶다고 이야기할 때 외면해서는 안된다. 이때 환자의 이야기에 관심을 보이고 기분이 안정될 수 있도록 웃는 얼굴로 대해주어야 한다.

차갑고 뜨거운 감각을 느끼는데 어려움을 느낄 수도 있다. 집안에 다리미나 가스렌즈, 오븐은 전원을 꺼두고, 위험한 물건은 보이지 않는곳에 둔다.

목욕을 할 때 옷을 벗는 것에 수치심을 느끼거나 거부하며 폭력을 휘두르기도 한다. 강하게 거부 시 무리하게 진행하지 말고 시간을 두고 시도한다.

대변을 손으로 만지거나 벽이나 방바닥에 묻 힐 수도 있다. 더럽다고 화내지 말고 아무렇지 않게 뒤처리하여 자존심에 상처를 주지 않도록 한다.

치매는 잘 기억하지 못한다는 생각에 치매환자 앞에서 막 말을 하거나, 소리를 치는 경우가 많은데 치매환자라도 감정과 자존심이 있음으로 무시하는 태도들 보여서는 안 된다.

치매환자를 돌보는 일은 어려운 일이다. 반복되는 상황과 이해할 수 없는 행동들이 보호자들을 지치게 만들고 가족구성원의 관계와 사회생활의 제약으로 자신의 삶이 없는 생활을 계속 하게 된다.

이때 보호자들은 전문 상담의나 지자체의 요양시설을 이용함으로 치매환자와 가족들의 생활을 유지 할 수있는 방법을 선택 할 수있다.

 

가족;#44;따뜻함
치매 원인, 치료;예방, 증상 알아보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