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아이 키우는 부모 필독 성조숙증-증상 원인 진단 성조숙증에 좋은 음식

by 곰같은여우 2023. 1. 11.
반응형

 

초등학교- 성소죽중

아이 키우는 부모 필독 성조숙증

내 아이가 또래보다 키가 크고 성장 속도가 빠르다고 좋아 할 일은 아니다. 빠른 성장만큼 성장판도 빨리 닫혀 최종 성인 이 되었을 때 평균 이하일 확률이 높다. 성조숙증은 사춘기도 아닌데 벌써 초등학교 저 학년 때 2차 성징의 징후를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 흔히 나이보다 키나 몸무게가 많이 나가거나 반대로 너무 작을 때 의심해 볼 수 있다. 외모에 관심이 많아질 수 있는 아이들에게 또래와 다른 모습의 나는 자신감을 떨어뜨려 친구들과의 학교생활에서 소외감을 느낄 수 있다. 아이 키우는 부모라면 누구나 한 번쯤 성조숙증 증상을 체크해 봐야 한다.

 

성조숙증의 증상-성호르몬 변화

2차 성징 시기에는 뇌로부터 나오는 호르몬이 생식기관에서 성호르몬을 분비하도록 자극을 한다. 여성의 경우 에스트로겐이나 프로게스테론이라는 여성 호르몬이 나오고, 남성의 경우 테스토스테론과 같은 남성 호르몬이 나온다. 성호르몬 분비가 갑자기 빠른 시기에 많이 분비 될때 성조죽증이 나타난다.

성호르몬이 분비되면 여자아이는 8세 이전에 가슴 멍울이 잡히며 유방이 발달하고 초경을 하고, 남자아이의 경우 음경과 고환의 크기가 커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또 여아 남아 모두에게서 여드름이 생기고 머리 냄새가 심하다면& 성조숙증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

 

 

 성조숙증의 원인- 4가지

성조숙증은 영양과잉으로 인한 체중 증가는 소아비만이 될 수 있고 이런 과체중이나 비만일 경우 체지방량과 비례해서 증가하는 렙틴이 혈중 농도가 증가해 성호르몬 분비를 촉진시켜 성조숙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자극적인 영상물에 자주 노출되어 있는 아이들은 성적인 자극을 받아 성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준다. 체내에서 정상적으로 만들어지는 물질이 아닌 우리 인간들의 산업 활동으로 통해 방출된 화학물질이 사람의 몸에 들어와서 마치 호르몬처럼 작용해 체내 내분비계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는 환경호르몬이 원인일 수도 있다. 환경호르몬은 쓰레기 소각장에서 나오는 다이옥신이나, 컵라면 용기, 플라스틱 식기에서 발견할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이 일상생활에서 항상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유전적으로 부모가 일찍 사춘기가 왔다면 아이도 2차 성징이 빨리 나타날 수 있다고 한다.

 

성조숙증의 진단과 치료

진단 여부는 상담을 통한 2차 성징이 나타난 시기, 진행속도, 원인 질환, 성호르몬 노출 유무를 확인하고 진행 정도를 평가한다. 방사선 촬영으로 골연령을 측정하고, 호르몬 검사를 진행한다. 골연령이 현재 나이보다 2년 정도 빠르게 진행되었다면 성조숙증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질환적인 원인이라면 원인 질환을 치료를 우선적으로 하고 질환이 없다면 성호르몬 억제제 주사로 성호르몬의 분비를 조절시킨다. 또한 성호르몬의 분비로 성장판이 일찍 닫혀 성장 호르몬 주사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니 전문의 상담으로 과잉처방을 받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성조숙증에 좋은 음식

카레에 들어있는 강황은 체지방 분해와 콜레스테롤을 분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양파의 껍질에는 퀘르세틴이라는 물질이 항산화와 혈액순환에 도움을 준다. 토마토는 비타민c가 풍부하고 칼로리가 낮고 포만감을 줄 수 있다. 성호르몬이 분비를 촉진시키는 석류, 장어, 전복은 피하는 것이 좋고, 다시마, 미역, 김, 멸치와 같은 뼈 성장에 좋은 철분과 식이섬유가 많이 함유된 식품이 좋다. 칼슘의 흡수를 돕는 오렌지, 레몬과 같은 신맛 나는 과일과 체내 환경 호르몬 배출을 돕는 고구마, 율무가 도움이 된다.

과일, 채소를 매일 먹는 습관과 양질의 단백질 섭취와 함께 체중조절을 위한 운동을 병행해 건강한 아이로 키울 수 있다.

반응형

댓글